HTTP?
HTTP가 무엇인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참고링크
클라이언트(=웹에서는 웹 브라우저)와 서버(=웹 서버)가 있다.
클라이언트는 가게에서 물건을 사려는 손님, 서버는 그 가게의 점원이라고 생각해보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HTML이라는 물건을 달라고 한다면 그것이 Request,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물건을 서버가 건네주는 것이 Response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와 같은 파일들은 서로가 주고 받는 컨텐츠라면,
그 컨텐츠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공통의 약속인 Message가 필요하다.
그 Message가 HTTP 이고, HTTP는 크게 request를 위한 메시지와 response를 위한 메시지로 구분되어 있다.
구글 크롬을 기준으로 우클릭 후 Inspect, 또는
F12(윈도우)/Option+Command+알파벳 i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Network 탭에서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어떤 통신을 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각 항목을 클릭하면 서로 주고 받은 http 메시지를 볼 수 있다.
Request Headers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보면,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게 요청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GET 방식으로 요청하면서 HTTP 1.1이라는 통신 방식으로 요청했음...
마찬가지로 Response Headers를 보면,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보내 주는 데이터의 정보(데이터의 길이나 데이터의 형식 등)을 알 수 있다.
그럼 이러한 정보를 웹 브라우저가 받아서 자신의 필요에 따라 잘 처리해서 화면에 표시해주게 된다.
= 웹 서버는 자신이 갖고 있는 정보를 보내 주면서 response header를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이고,
웹 서버가 응답한 정보를 화면에 적당히 그려 주는 프로그램이다.
* status : 200 은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찾아서 보내주겠다는 의미.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HTTP_상태_코드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 GET방식으로 request.
'기초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URL과 URI (0) | 2021.08.05 |
---|---|
Response (0) | 2021.08.03 |
Request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