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API, URL과 URI

기초/HTTP|2021. 8. 5. 22:59

 

참고자료 및 연습문서 링크

기계가 웹을 통해서 통신할 때 정해진 규칙이 있다. 

REST API는 기계와 기계가 규격화된 방식으로 인터넷/웹을 통신할 수 있는 통신규약인 http를 이용한다.

이를 이용해서 통신할 때 http에게 가장 이로운 방식대로 해라~ 하고 권고하는 내용을 뜻함.

 

웹 서버-웹 서버, 웹 서버-웹 브라우저, 웹 서버-모바일 앱이 통신할 때 REST API를 이용할 수 있음.

 

기계와 기계가 http를 이용해서 통신할 때...

출처 : 생활코딩 (https://youtu.be/PmY3dWcCxXI)

하나하나의 데이터를 모아 놓은 것을 Resource라고 한다. → REST API에서는 URI를 통해 표현됨

이런 데이터 전체 또는 여러 개를 식별할 수 있고, 이러한 URI를 Collection 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 한 건 한건의 데이터를 Element 라고 한다. = Element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이 Collection.

보통 element는 각각의 id로 식별하지만 제목으로 하기도 한다.

 

URI는 단지 그 정보를 식별하는 이름이고, 그 정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액션이 필요하다.

그 액션은 method라고 한다.  REST API는 HTTP를 이용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메서드를 사용한다.

Create(생성) - post
Read(읽기) - get
Update(수정/전체) - put(전체를 교체하며 언급하지 않은 데이터는 지워버림)
Update(수정/부분) - patch(부분을 교체하며 언급하지 않은 데이터는 그대로 둠)
Delete(삭제) - delete

 

API =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

REST API도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이다.

다만 남의 컴퓨터를 실행시킨다. http의 메서드들을 활용해서.

 

REST API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것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떤 데이터타입으로 통신할 것인가

REST API에서 규정하는 것

1. 리소스를 식별할 때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식별한다.

2. 어떤 액션을 할 때는 http의 고유한 method를 이용한다.

3. 결과를 알려줄 때는 응답 코드를 정확하게 사용한다.

 

 

URL 과 URI stackoverflow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통합 자원 식별자

Uniform Resource Locator : 통합 자원 지시자

URI가 더 포괄하는 개념

'기초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연습, RESTful??  (0) 2021.08.09
Response  (0) 2021.08.03
Request  (0) 2021.08.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