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삽질 기록
2024.03.19
회사에서 로컬로 테스트를 진행할 때, 준비되어야 할 서버(DB, nginx 등)가 많아서 도커로 관리하고 있었다. 이번에 파이썬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도 하나 추가돼서, 원래는 도커를 켜 주고 파이썬은 로컬 컴퓨터에서 파이참으로 프로그램을 켜야 했다. 파이썬 서버를 기존 도커 서비스에 추가해서 합쳐 만들려고 했다! 1. 우분투 이미지를 가져와서 생성한 컨테이너에, rabbitMQ와 파이썬을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미지를 .tar로 추출해서 기존에 세팅된 서버 도커에 이미지로 불러와 함께 실행 이미지, 컨테이너, 도커파일, docker-compose 등이 뭔지 도커에 대해 기본적인 정보를 익힌 후 Dockerfile을 만들기 시작했다. 우분투 컨테이너를 베이스로 시작함 rabbitMQ설치와 파이썬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