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1) : 데이터 타입과 변수, 출력

기초/Python|2021. 12. 15. 23:48

print()

: 내가 원하는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 괄호 안에 내가 표시하고 싶은 내용을 넣는다. 

문자열을 넣을 때는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 안에 넣어 주고, 숫자/변수는 그대로 넣어도 된다.

+, -, *, /를 사용해서 계산식을 괄호 안에 넣어 주면 그 계산 결과값이 출력된다.

// 는 몫, %는 나머지, **는 지수를 출력해 준다. 

여러 개를 출력하고 싶을 때는 콤마(,)로 구분한다.

 

왜 문자열을 출력할 때 따옴표를 넣어 주는가?

→ 명령어인지 문자인지 컴퓨터에게 알려 주기 위해서이다.

 

변수(variable)

프로그래밍 = 데이터를 기반으로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기

데이터는 크게 네 가지 타입이 있다.

1. 문자열 = string

2. 정수 = integer

3. 부동소수점 숫자 = float

4. 참/거짓 = boolean (단, 맨 앞글자는 대문자로 써줘야 한다. True/False처럼)

 

변수를 선언할 때 데이터타입을 지정해 줄 필요는 없다.

int x = 1 이렇게 하지 않고, 

x = 1 이라고만 해 주면 x라는 변수는 숫자 데이터로 인식한다.

마찬가지로, y = "doodoo" 라고 해 주면 y는 문자열 데이터를 가진다고 인식한다.

변수이름을 짓는 규칙

- 숫자부터 시작하는 이름은 사용할 수 없다.

- 중간이나 맨 뒤에 숫자가 들어가는 것은 괜찮다.

- 영어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 여러 개의 단어가 나올 때는 snakecase 또는 camalcase로 구분을 해 준다. (권장)

-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한다. camalcase != camalCase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받아 사용하기

변수를 선언할 때 input() 함수를 사용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받을 수 있다.

x = input() 을 실행하면, 입력창이 뜨고 그곳에 값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입력값은 변수로서 계산을 하는 등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단, 무슨 값을 넣든 반드시 문자열로 들어가게 된다.

→ int(), float(), str(), bool() 등의 함수를 사용해 주면 해당하는 데이터타입으로 변경해 준다.

print(type(x)) 을 실행하면 해당 변수 x가 어떤 데이터타입인지 나타내 준다.

input()의 괄호 안에 따옴표("")를 쓰고, 특정 문구를 넣어 주면 그 문구가 입력창 옆에 노출된다.

x = input()
y = input()
print(int(x)+int(y))
#이것보다는...

u = int(input())
v = int(input())
print(u+v) 
#이게 더 깔끔하다.

 

주석 처리

# 한줄 전체 주석처리

"""~""" 특정 범위 주석처리

댓글()